2025/07 23

근대의 시작과 독립의 불꽃, 서재필의 삶과 전남 보성 생가 이야기

서재필(徐載弼, 1866~1951)은 조선의 유교 문신에서 시작하여 대한제국의 개혁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해방 이후의 행정 관료까지 전근대와 근현대를 모두 아우른 격동의 시대를 살아간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는 1866년 병인양요의 혼란 속에서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가천리의 외가에서 태어났습니다. 본가는 충청남도 논산으로, 이후 대전 유성구 진잠현에 살던 재당숙 서광하의 양자로 입적됩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두각을 드러낸 서재필은 1882년 별시 문과에 병과 3등으로 급제하며 17세의 나이에 관직에 나섰습니다.젊은 서재필은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에 매료되었고,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개화파 지도자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시대에 대한 꿈을 키워나갔습니다. 그는 1883년 일본 도야마 육군학교에서 ..

청주 쌀안장터 3·1운동, 일제 헌병주재소를 무너뜨린 민중의 함성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의 ‘쌀안장터’는 단지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이 아니었습니다. 1919년 3월 30일, 이곳은 충북 청주 지역 3·1운동의 정점을 찍는 항거의 무대가 되었습니다. 쌀안장터 만세운동은 일제의 헌병주재소를 향한 시민들의 분노와 항쟁이 가장 격렬하게 드러난 대표적 사건입니다. 이날의 시위는 단지 구호를 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행동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다수의 부상자와 희생자, 체포자가 발생했습니다.쌀안장터가 위치한 미원면은 예로부터 장이 열리는 전통시장으로, 조선시대 『동국문헌비고』에도 ‘미원’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입니다. 이곳은 매월 4일과 9일에 정기적으로 오일장이 서며, 인근 마을 사람들이 장날이면 모여드는 중심지였습니다. ‘쌀안’이라는 지명은..

울산 언양에서 울려 퍼진 대한독립만세! 1919년 언양장터의 역사적 항쟁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3·1운동은 식민지 조선 전역을 휘감은 거대한 저항의 물결이었습니다. 민족대표 33인이 낭독한 독립선언서는 각 지역으로 빠르게 퍼졌고, 울산 역시 그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었습니다.울산의 만세운동은 언양, 남창, 병영 등 여러 지역에서 순차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그중 언양의 3·1운동은 1919년 4월 2일, 언양장터에서 본격적으로 일어났습니다. 이 시위는 단순한 시민들의 자발적 항거가 아닌, 철저히 준비된 조직적인 민족운동이었습니다.특히 언양지역은 천도교 중심의 계획된 항거였으며, 상남면 거리에는 이미 울산 천도교 교구가 설립되어 민족운동의 조직 기반이 갖춰져 있었습니다. 서울 천도교 본부와 직접 연락을 취하였고, 『조선독립신문』과 『국민회보』 등 지하신문..

전주 남밖장터에서 터진 첫 외침, 전북 3·1운동의 시작을 알리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3·1독립만세운동은 전국으로 빠르게 번져나갔습니다. 그러나 전북 전주의 첫 만세운동은 단순히 서울의 흐름을 따라간 것이 아니었습니다. 전주는 전라북도의 행정, 교육, 종교의 중심지였으며, 이미 천도교와 기독교 세력을 중심으로 민족운동의 기반이 탄탄히 구축되어 있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남밖장터가 있었습니다. 지금의 전주 남부시장 인근인 이곳은 조선시대 전주부성 남문인 풍남문 밖에 형성된 최대의 물산 집산지로, 지역 사회의 상징적 공간이었습니다.전주의 3·1운동은 천도교와 기독교, 학생과 주민이 함께한 조직적이고 계획된 민중운동이었습니다. 3월 13일, 남밖장터에서 시작된 이 시위는 이후 완산정, 초포면, 봉동면, 삼례면 등으로 확산되며 전북 전역을 뒤흔드는 독립의 불..

불탄 교회, 사라진 마을… 화성 제암리 학살, 잊혀선 안 될 1919년의 진실

경기도 화성의 조용한 농촌 마을 제암리는 1919년 4월 15일, 참혹한 비극의 현장이 되었습니다. 이곳은 만세운동이 격렬했다는 이유만으로, 일본 군대에 의해 주민들이 교회에 가둬진 채 총살되고 마을 전체가 불에 타 폐허가 되었던 장소입니다.당시 3·1운동은 전국적으로 들불처럼 번졌고, 화성 역시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화성은 송산면과 장안면, 우정면, 발안장터 등지에서 일본 순사 두 명을 처단할 정도로 강력한 저항의 중심지였습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위협을 느낀 일제는 본보기 처벌의 일환으로 제암리를 선택했습니다.아리타 도시오 중위가 이끄는 일본군은 조선인 순사보 조희창의 첩보를 토대로 마을 주민들을 교회당에 가두고, 무차별 총격 후 불을 질렀습니다. 남성뿐만 아니라 어린아이와 여성까지 희생되었고,..

영남에서 가장 치열했던 항쟁, 경남 합천 삼가장터 3·1운동

1919년, 한반도 곳곳에서 독립을 향한 거대한 함성이 들려오던 시기, 경상남도 합천에서도 불꽃같은 저항이 시작되었습니다. 서울의 독립선언이 시작된 지 보름이 지난 3월 18일, 합천 삼가면 삼가장터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만세시위가 발발한 것입니다.합천 3·1운동은 단순히 외침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시위대는 일제의 경찰서와 면사무소를 공격하고 문서를 불태우는 등 무력에 가까운 강한 저항을 보였고,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격렬한 양상을 띠었습니다.그 중심에는 서울에서 독립선언서를 들고 귀향한 정현상과 이기복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시위를 조직하고 지역 유림, 학생들과 연계하여 장날을 기점으로 군중을 결집시켰습니다. 이 시위는 삼가장터를 시작으로 대양면, 대병면, 초계면, 가야면 등으로 번졌으며, 3월 ..

강화에서 터진 독립의 함성 – 1만 명이 모인 3·1운동의 불꽃

강화도는 우리 역사에서 반복되는 수난과 항쟁의 무대였습니다. 고려가 몽골의 침략을 피해 도읍을 옮겼던 섬, 조선 왕실이 후금의 침공을 피해 몸을 숨겼던 은신처, 그리고 19세기에는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에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최전선이었습니다.그러나 그런 강화가, 또 한 번 조선의 미래를 위한 거대한 함성으로 뒤덮인 날이 있었습니다. 1919년 3월 18일, 무려 1만 명이 모인 대규모 만세운동이 바로 그 자리에서 펼쳐졌습니다.강화는 지리적으로 섬이었지만, 세상과 동떨어진 곳은 아니었습니다.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 유봉진, 연희전문학교 학생 황도문, 그리고 강화공립보통학교 학생들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교회, 학교, 시장 등지에서 힘을 모아 조직적으로 시위를 준비했습니다.그 시위는 기독교, 교육, 지방 자치..

태백산맥 너머의 외침, 울진 매화장터 3·1만세운동의 진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울려 퍼진 독립선언은 곧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습니다. 그러나 강원도 울진군(현, 경상북도 울진군)은 사정이 달랐습니다. 이 지역은 당시 서울과의 거리도 멀었고, 험준한 태백산맥 너머 동해안에 위치해 있어 교통과 연락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다른 지역보다 한 달 이상 늦은 4월 11일에서야 매화장터에서 첫 만세시위가 일어났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진의 3·1운동은 소극적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만흥학교를 중심으로 한 청년들, 기독교 감리교회의 인사들, 마을 장정들과 장날을 찾은 일반 군중들까지 힘을 모아 3일에 걸쳐 시위를 이어갔습니다. 이들은 태극기를 게양하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으며, 일제 헌병의 총탄에 맞서 싸우는 등 강한 저항을 펼쳤습니다.당시 울진은..

3만 명이 울부짖은 진주의 외침 – 경남 진주 3·1운동의 진실과 유산

지금의 진주는 평화롭고 고즈넉한 도시지만, 1919년 3월 18일, 이곳은 대한독립을 외치는 거대한 물결로 뒤덮였었습니다. 서울에서 3월 1일 독립선언이 일어난 후, 불과 보름도 채 지나지 않아 경남 진주에서는 전국 두 번째 규모의 대규모 만세 시위가 일어났습니다.놀랍게도 이날 시위에는 무려 연인원 3만 명이 참가하였고, 시위는 단 하루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3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이어진 만세운동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심지어 기생, 걸인, 노동자까지 전 계층이 참여한 진정한 민중의 항거였습니다.진주 3·1운동은 단순한 시위가 아니었습니다. 당시 지도자 김재화를 중심으로 사전에 치밀한 준비가 이루어졌으며, 사립 광림학교 악대의 참여, 태극기 준비, 교섭위원 선정까지 전 과정이 조직적으로 실행되..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 3·1운동 – 노구치 순사 처단 사건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는 지금은 조용한 시골 장터로 인식되지만, 1919년 봄, 이 마을은 조선의 독립을 향한 거대한 함성으로 뒤덮였습니다.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3·1운동의 물결은 빠르게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수원군 송산면(현 화성시 송산면)에서도 민족의 외침이 들려오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이곳의 만세운동은 다른 지역과 달리 단순한 시위를 넘어서 일본 순사부장을 직접 처단하는 격렬한 항거로 이어졌습니다.이 운동의 중심에는 당시 35세였던 사강리 출신의 홍면옥이 있었습니다. 그의 전력에는 도박과 횡령으로 인한 전과가 있었지만, 이것이 곧 그의 사상이나 민족의식을 폄하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진 않습니다. 오히려 당시 일제는 영향력 있는 독립운동가들에게 ‘파렴치범’이라는 오명을 씌워 명성을 실추시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