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일제의 식민통치에 항거하여 전 민족이 일어선 3·1운동은 전국 각지로 번져갔습니다. 전라북도의 남원군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남원군의 중심인 남원읍에서는 초기의 삼엄한 경계 탓에 만세운동이 쉽게 발생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가운데 남원군 덕과면에서, 조용하지만 거대한 저항의 외침이 터져 나왔습니다. 바로 4월 3일, 덕과면 신양리 도화곡에서 벌어진 800여 명의 만세시위는 남원지역 최초의 3·1운동이었습니다.이 만세운동은 단순한 우발적 사건이 아니었습니다. 지역의 천도교인들 사이에 퍼진 민족 독립의 열망은 기미독립선언서의 전달과 유포, 만세시위 준비를 통해 조직적이고 의도적인 민중 항쟁의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덕과면장 이석기와 면직원 조동선, 유지 이성기 등 지역 공직자와 유력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