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23

양양에 울려 퍼진 6일간의 함성 – 강원도 최대 규모 3·1운동의 기록

1919년 전국을 뒤흔든 3·1운동은 강원도에서도 크고 작은 형태로 확산되었지만, 그중에서도 양양군에서 벌어진 3·1운동은 규모와 열기 면에서 타 지역과 비교해 손색이 없을 정도로 치열하고도 조직적인 항쟁이었습니다. 양양에서의 만세시위는 단순한 일회성 시위에 그치지 않고, 6일 동안 8회에 걸쳐 전개된 대규모 민중 저항 운동이었습니다. 연인원 1만 5천여 명이 참가한 이 운동은 양양 전역 6개 면, 82개 마을에 걸쳐 확산되었으며, 지역 주민의 강력한 항일 의지와 민족 독립에 대한 열망이 어떠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줍니다.1919년 4월 3일부터 시작된 이 시위는 4월 9일까지 매일같이 이어졌으며, 특히 마지막 날 벌어진 현북면 기사문리 ‘관 고개’ 시위는 6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일제의 무차별 발포로..

덕과면에서 시작된 불꽃, 4월 3일 만세의 외침이 남원을 뒤흔들다

1919년, 일제의 식민통치에 항거하여 전 민족이 일어선 3·1운동은 전국 각지로 번져갔습니다. 전라북도의 남원군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남원군의 중심인 남원읍에서는 초기의 삼엄한 경계 탓에 만세운동이 쉽게 발생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가운데 남원군 덕과면에서, 조용하지만 거대한 저항의 외침이 터져 나왔습니다. 바로 4월 3일, 덕과면 신양리 도화곡에서 벌어진 800여 명의 만세시위는 남원지역 최초의 3·1운동이었습니다.이 만세운동은 단순한 우발적 사건이 아니었습니다. 지역의 천도교인들 사이에 퍼진 민족 독립의 열망은 기미독립선언서의 전달과 유포, 만세시위 준비를 통해 조직적이고 의도적인 민중 항쟁의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덕과면장 이석기와 면직원 조동선, 유지 이성기 등 지역 공직자와 유력 인..

역사의 어둠 속에서 울려 퍼진 저항과 비극 – 대전형무소가 남긴 기록

1919년 3·1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정면으로 거부한 전 민족적 저항이었습니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일제의 사법 체계를 마비시킬 정도로 수형자가 급증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감옥의 확장과 신설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전형무소가 세워졌습니다. 1919년 10월 19일, ‘대전감옥’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이 행형시설은 이후 점차 규모를 확대해 가며 대전형무소로 승격되었습니다. 대전이 감옥 설치지로 선택된 데에는 여러 가지 지리적, 행정적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대전은 경부선과 호남선 철도의 교차점으로 수감자 이송이 용이했고, 서울과도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더불어 당시 대전은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 도시였기에 대규모 부지를 확보하는 것도 수월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