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2

목포를 울린 여학생들의 함성 – 정명여학교 4.8만세운동의 기억

전라남도 목포시 양동에 자리한 정명여학교는 지금은 평범한 여자중고등학교로 알려져 있지만, 100여 년 전 그 교정은 뜨거운 함성으로 뒤덮인 항일운동의 중심지였습니다.1919년 4월 8일, 목포의 4.8만세운동은 이 학교의 교사와 여학생들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독립선언은 전국으로 퍼졌고, 목포 역시 독립의 열망으로 들끓기 시작했습니다. 목포의 항일운동은 정명여학교와 영흥학교 학생들 양동교회 신도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특히 정명여학교의 여학생들이 주축이 되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의를 지닙니다.그들은 태극기를 손으로 제작하고, 독립선언서를 숨겨 날랐으며, 시내를 누비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습니다. 일제의 감시 속에서도 무너짐 없이 거사를 준비했고, 그날 목포는 이들의 외침..

포항 덕성장터에서 울려 퍼진 만세의 함성 – 1919년 3월 22일, 대전리 사람들의 항일투쟁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의 덕성장터는 현재는 평범한 상가 건물들이 줄지어 있는 도심 일각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100여 년 전, 이곳은 경상북도 일대에서 가장 격렬한 3·1운동이 벌어진 역사의 현장이었습니다. 덕성장터는 1919년 3월 22일, 독립을 향한 외침으로 가득 찼습니다. 바로 그날, 송라면 대전리 출신의 기독교인들이 조직한 만세운동이 이곳에서 폭발하듯 일어났던 것입니다.서울에서 시작된 3·1운동은 빠르게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경북 포항 지역 역시 그 흐름에 동참했습니다. 하지만 이 지역의 운동은 단순한 동조 시위가 아니었습니다. 덕성장터 만세운동은 철저한 준비와 공동체의 신앙, 조직력이 어우러진 지역 중심의 독립운동이었습니다. 주도세력은 대전리 대전교회 출신의 기독교 신자들이었고, 이들은 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