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조선의 근대사를 상징하는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1883년 개항과 함께 외세의 문물이 가장 먼저 유입된 이 도시는, 일제 식민지배가 가장 먼저 실험된 공간이기도 했습니다. 인천항을 통해 물자와 인력이 이동했고, 일본인 조계지와 차이나타운이 함께 공존했던 복합적인 구조는 인천만의 독특한 도시 풍경을 형성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성’의 이면에는 시민의식과 민족정신으로 무장한 지역 주민들의 항일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많은 이들은 서울과 평양, 의열단이나 광복군의 활동에만 주목하지만, 인천에서 일어난 3·1운동, 학교 중심의 학생운동, 종교단체의 저항, 노동자들의 파업 등은 전국 항일운동의 흐름과 결을 같이하며 지역적 특성을 지닌 독립운동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특..